‘애매(曖昧)하다’의 우리말 표현은 ‘모호(模糊)하다’
우리가 흔히 쓰는 ‘애매하다’는 일본식 한자어
‘애매하다’는 <희미하여 분명하지 아니하다>는 뜻의 일본어다.
‘모호하다’로 대체할 수 있다.
일본어식 한자어가 아닌 고유어로서 ‘애매하다’가 있다.
“아무 잘못 없이 꾸중을 듣거나 벌을 받아 억울하다.”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.
‘모호하다’와는 다른 의미로 쓰인다.
용례) "그것 봐 . 애매한 사람을 죽이려 드니까 마른하늘에 생벼락이 안 내릴까 ."
< 김유정 , 두포전 >
애매모호는 어느 나라 말일까?
'애매모호'는 중첩어로써 사전적 의미는 <말이나 태도 따위가 희미하고 흐려 분명하지 아니함> . 유의어로 알쏭달쏭, 불투명 등이 있다.
'애매모호'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다보니 국어사전에 등재된 경우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O5LL/btsEQexDHkN/0qr2w8ky0HaPpH0IEi5kB1/img.png)
'남의 글 -좋은 시 문학상 건강 여행 뉴스 신문 기사 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순 우리말 (ㅁ,ㅂ) (2) | 2024.02.13 |
---|---|
순우리말 (ㄱ,ㄴ,ㄷ) (1) | 2024.02.13 |
잘못 쓰고 있는 일본어 (1) | 2024.02.13 |
혼동하기 쉬운 우리말 (ㅇ~ㅎ) (2) | 2024.02.13 |
혼동하기 쉬운 우리 말 (ㄱ~ㅅ) (1) | 2024.02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