나의 글과 사진/여행(축제) 405

북한산국립공원 독립유공자 묘역 신익희 선생 묘역 -찾아가는 길

♠교통 ☞ 지하철 수유역 4번 출구 / 마을버스 01번 종점 하차(아카데미하우스-통일교육원) ♠해공 신익희 선생 생애 ☞네이버 워키백과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8B%A0%EC%9D%B5%ED%9D%AC 왼쪽 등산로 구천교를 건너 진달래 능선 대동문 가는 길. 오른쪽 신익희 선생, 신하균 선생 묘멱은 오른쪽 안내도와 안내석 있는 곳으로 올라간다. 상석과 혼유석, 그리고 향로석은 모두 묘제를 지낼 때 각각 제수(祭需)와 향로와 향합을 차리거나 올려놓는 데 쓰이고 있다. 혼유석은(魂遊石)은 상석(床石) 뒤쪽 무덤 앞에 놓은 직사각형의 돌로, 영혼이 나와서 놀도록 설치하는 것이라 한다. 석양은 온순함의 상징이고 석호는 사나움의 상징으로 양(羊)과 음(虎)의 기운의 조화를 이루..

북한산국립공원 독립유공자 묘역 -춘헌 이명룡 선생 묘소 -찾아가는 길

♠교통 ☞ 지하철 수유역 4번 출구 / 마을버스 01번 종점 하차(아카데미하우스) ♠춘헌 이명룡 선생 생애 ☞네이버 두산백과 http://terms.naver.com/entry.nhn?docId=1134554&cid=40942&categoryId=33384 춘헌 이명룡 선생의 묘소를 참배하려면 통일교육원으로 들어가야 한다. 춘헌 선생의 묘역이 이 안에 있기 때문이다. 선생의 묘역이 다른 선열들과 달리 홀로 이곳에 계신지 이유는 모르지만 접근하기가 거북한 것도 있다. 참배하러 간 날도 경비원이 지키고 있었다. 한 분의 경비원이 제지를 하면서 뒤에서 부르는데 고압적이고 다소 신경질적이다. 어른인 나도 이렇다면 어른 안내자 없이 초등학생들이 선생님의 묘소를 마음대로 참배를 할 수 있을까...

강북구 북한산둘레길 (순례길 구간) 애국선열 묘역 찾아가는 길

강북구 북한산둘레길 (순례길 구간) 애국선열 묘역 찾아가는 길 ☞유석 조병옥 박사 묘역 찾아가는 길> ♠교통 ☞ 지하철 수유역 4번 출구 / 마을버스 01번 국립재활원 하차 강북구 북한산 자락에는 14기의 애국선열의 묘역이 자리하고 있다. 민주당 창당, 야당 대통령 후보, 신간회 사건으로 옥고를 겪은 유석 조병옥 박사 -3.1 독립운동 민족대표, 105인 사건 주역 춘헌 이명룡 선생 -상해 임시정부 의정원부의장, 야당 대통령 후보 해공 신익희 선생 -광복군 총사령부 입대, 3·5·6대 국회의원회 조직하여 항일 투쟁 평산 신하균 선생 -독립협회 조직 항일 투쟁, 헤이그 밀사로 가셨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자결을 한 일성 이준 열사 -항일 변호사단체 창설, 초대 및 제2대 대법원장 역임 가인 김병로 선생 -..

강북구 북한산둘레길 (순례길 구간) 애국선열 묘역 찾아가는 길 ☞유석 조병옥 박사 묘역 찾아가는 길>

♠교통 ☞ 지하철 수유역 4번 출구 / 마을버스 01번 국립재활원 하차 ♠소재지☞ 수유동 산 127 ♠유석 조병옥 박상의 생애 ☞네이버 워키백과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A1%B0%EB%B3%91%EC%98%A5 지하철 수유역 4번 출구로 나와 초록색 마을버스 01번 환승. 국립재활원 하차한 다음 횡당보도 건너 국립재활원 방향으로 올라간다. 왼쪽 국립재활원 정문을 지나 중간에 오른쪽으로 북한산둘레길 흰구름 구간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고 길 끝에 본원정사가 있다.

강북구 북한산둘레길 (순례길 구간) 애국선열 묘역 찾아가는 길 ☞유석 조병옥 박사 묘역 찾아가는 길>

♠교통 ☞ 지하철 수유역 4번 출구 / 마을버스 01번 국립재활원 하차 ♠소재지☞ 수유동 산 127 ♠유석 조병옥 박상의 생애 ☞네이버 워키백과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A1%B0%EB%B3%91%EC%98%A5 지하철 수유역 4번 출구로 나와 초록색 마을버스 01번 환승. 국립재활원 하차한 다음 횡당보도 건너 국립재활원 방향으로 올라간다. 왼쪽 국립재활원 정문을 지나 중간에 오른쪽으로 북한산둘레길 흰구름 구간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고 길 끝에 본원정사가 있다.